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ABS란? 자산유동화증권의 개념부터 구조, 활용까지 완전 정리

by funandmoney 2025. 4. 16.

요즘 기업과 금융기관들이 자금을 조달하는 다양한 방법 중 하나로 자주 등장하는 것이 바로 ABS(Asset-Backed Securities)입니다. ‘자산유동화증권’이라고도 불리는 ABS는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실제로는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신용카드, 자동차 할부, 주택담보대출 등과 밀접하게 연결된 금융상품입니다.

이 글에서는 ABS의 개념부터 발행 과정, 종류,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 유용한지까지 알기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ABS란 무엇인가요?

ABS(Asset-Backed Securities)는 말 그대로 자산(Asset)을 담보로 하여 발행되는 증권(Securities)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자산이란 다음과 같은 것들을 의미합니다.

  • 고객으로부터 아직 회수하지 못한 매출채권(미수금)
  • 금융기관의 대출금
  • 리스 채권
  • 부동산 등 실물자산

즉, ABS는 이런 자산들을 묶어 증권화한 후 시장에 판매하여, 자산 보유자는 현금을 유동화하고, 투자자는 이자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1998년 자산유동화법 제정 이후 공식적으로 ‘자산유동화증권’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며, 국내에서는 1999년부터 ABS가 본격적으로 발행되기 시작했습니다.


ABS의 발행 과정은 어떻게 되나요?

자산을 가진 기업이 ABS를 직접 발행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신,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칩니다.

✅ 1. 자산 보유자 선정

자금이 필요한 기업이나 금융기관이 미수금, 부실채권, 부동산 등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음

✅ 2. 특수목적회사(SPC) 설립

자산 보유자와 별도로 **SPC(Special Purpose Company)**라는 법인을 만들어 이 자산을 이전

✅ 3. ABS 발행

SPC는 넘겨받은 자산을 기초로 ABS를 발행, 이를 여러 투자자에게 판매

✅ 4. 원리금 지급

이후 고객(채무자)이 원리금을 상환하면, SPC는 이를 투자자에게 이자 및 원금 형태로 돌려줌

핵심 포인트는 SPC가 자산 보유 기업과 별개의 법인이기 때문에, 해당 기업의 신용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높은 신용평가를 받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또한 기존 자산을 활용하여 단기간 내 현금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어, 기업 입장에서는 매우 유용한 자금 조달 수단이 됩니다.


ABS는 왜 유용할까요?

  • 자산을 현금화하여 유동성 확보
    대출처럼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으며, 이미 보유한 자산으로 현금을 빠르게 확보할 수 있습니다.
  • 신용도와 관계없이 발행 가능
    실물 자산을 근거로 하기 때문에, 자산만 우량하다면 신용등급이 낮아도 ABS 발행 가능
  • 투자자에게 안정적 수익 제공
    선순위·후순위로 리스크를 분산시켜 투자자별 니즈에 맞게 설계 가능
  • 금융시장 구조조정에 활용 가능
    국내에서도 외환위기 이후 부실채권 정리 수단으로 적극 활용되며, 기업 회생에도 큰 역할

ABS의 종류는 무엇이 있을까?

ABS는 기초자산의 성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뉩니다.

유형 설명

MBS (Mortgage-Backed Securities) 주택담보대출을 기반으로 발행되는 증권. 주택금융공사에서 자주 활용됨
CBO (Collateralized Bond Obligation) 고위험 고수익 채권을 묶어서 만든 자산유동화증권
CLO (Collateralized Loan Obligation) 은행이 보유한 기업대출채권을 모아 발행하는 증권. 기업대출 기반의 ABS

이처럼 ABS는 하나의 상품이 아니라, 다양한 자산을 바탕으로 맞춤형 설계가 가능한 구조화 금융상품입니다.


마무리: ABS, 금융시장의 숨은 핵심 인프라

ABS는 일반 투자자들에게는 다소 낯설 수 있지만, 금융시장 안에서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부실자산 정리, 기업 구조조정, 유동성 확보, 신용도 보완 등 여러 상황에서 핵심적인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죠.

기업 입장에서는 기존 자산을 활용해 자금을 빠르게 조달할 수 있고, 투자자 입장에서는 우량 자산 기반의 안정적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투자처로서의 가치가 큽니다.

앞으로 구조화 금융이나 기업금융, 투자 전략에 관심이 있다면 ABS는 꼭 짚고 넘어가야 할 개념입니다.